경북도는 올해 360억원을 투입해 광역자활센터와 20개 시·군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일하는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에 대한 자활·자립지원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자활근로사업은 저소득층의 근로능력을 향상시키고 일자리를 제공해 대상자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근로 빈곤층 자립지원 정책이다.
도의 지원은 세부적으로 자활근로사업 240억원, 희망키움통장(기초·차상위) 40억원, 우수 자활기업 창업·사업개발비, 자활생산품 포장개선지원 등 4억원이다.
도는 현재 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사회서비스형, 인턴·도우미형, 시장진입형 등 177개의 다양한 자활근로사업단에 참여 중이다.
또한 자활사업 참여자가 안정된 일자리를 바탕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희망키움통장과 내일키움통장 등으로 자산형성을 지원하고 재무·금융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자립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그 결과 현재 900여 가구가 희망키움통장(I·II)에 가입해 3년간 평균 1700(I)여만 원에서 720여만원(II)의 목돈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도는 올해 추가로 희망키움통장 1131가구와 내일키움통장 333가구를 모집한다.
특히 도는 자활 참여자의 적성과 능력, 여건에 맞는 개인별 맞춤형 자립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활사례관리 및 희망 키움통장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해 자활사업을 통해 생계급여 수급자 343명이 취·창업에 성공했으며 751명이 생계급여 수급에서 탈피해 취·창업률 12.49%, 탈수급률 27.35%의 성과를 거뒀다.
경북도 김종수 복지건강국장은 "자활사업은 대상자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당당하게 설 수 있도록 삶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라며 "도는 저소득층의 근로역량을 향상과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본기사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414_0014021406&cID=10810&pID=10800